[Manual][Extension Tool] blockdefpropx ( 1 판 )
블록참조의 분해를 허용하거나 허용하지 않도록 블록정의 설정을 변경합니다.
1. 개요
위치 | Extension Tool>블록 |
COMMAND | BLOCKDEFPROPX |
명령 이름 | 블록정의 분해설정 변경 |
명령 별칭(초기값) | BDX |
버전(날짜) |
시스템변수
없음
2. 설명
블록을 사용하다보면 간혹 블록을 분해해야하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 그런데 어떤 블록은 분해가 불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그럴 때는 블록을 재정의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는 하지만 사용자에 따라 번거롭다고 느낄 수 있다. 이 기능은 블록정의의 '분해' 설정을 직접 수정할 수 있도록 만든 기능으로 선택한 블록의 '분해' 옵션에 대해서 블록재정의를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3. 사용방법
3-1. 워크플로우
작업방식은 다음과 같다.
- 명령실행
- 현재설정 상태에서 적용범위와 내포된 블록의 처리를 확인한다.
- 변경할 블록참조 객체를 선택한다.
- 블록정의의 분해 옵션을 '분해허용'할지 '분해 허용하지 않음'할지 선택한다.
3-2. 명령행
3-3. 옵션
허용함(Y)
블록정의의 '분해' 옵션을 체크온 상태(분해허용)로 적용한다.
허용하지 않음(N)
블록정의의 '분해'옵션을 체크오프 상태(분해허용하지않음)로 적용한다.
설정(S)
이 기능의 적용범위 및 내포된 블록에 대한 처리를 어떻게 할지 설정한다. 설정상태는 '현재설정'에서 미리 보여준다.
적용범위
적용범위는 '전체 윈도우', '현재 윈도우'로 선택할 수 있으며 현재 프로젝트(MDWG)의 모든 윈도우의 블록정의에 대해 변경사항을 적용해줄 것인지 아니면
현재 윈도우의 블록정의에 대해서만 적용할 것인지에 대해 설정한다. 초기값은 '현재 윈도우'이다.
내포된 블록
선택한 블록안에 다른 블록이 중첩되어 있는 경우 중첩되어 내포된 모든 블록정의에 대해서 동일한 변경사항을 적용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초기값은 '내포된블록은 포함하지 않음' 이다.
블록과 블록정의와 블록참조는 무슨 말일까?
캐드에서 흔히 사람들이 '블록' 이라고 말하는 객체를 좀더 정확히 이야기하면 '블록참조'와 '블록정의'로 구분하여 이야기할 수 있다.
BLOCK 라는 명령으로 객체를 선택하여 블록으로 정의하면 DWG 내의 DATABASE에 '블록정의' 로 저장되게 된다. 이것을 INSERT 라는 명령을 화면에 삽입할 수 있고 삽입된 객체를 '블록참조'라고 말한다.
따라서 '블록참조'는 화면에 '블록정의'를 그대로 가져와(참조하여) 보여주는 객체라고 생각하면 되고, 실제 정보는 DATABASE 상의 '블록정의' 가 가지고 있는 것이다.
결국 '블록'이라는 말은 사실 부정확한 단어인 셈이다. 그렇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블록정의'하는 명령이 블록(BLOCK)이긴 하지만...

